지금도 풀리지 않고 있는 피라밋 최대의 수수께끼 - 그것은 빛이 들어오는 창문이 없다는 것이다.

피라밋이나 신전 내부의 벽화를 그리기 위해서는 강력한 조명이 필요하다. 햇불을 사용했다면 천정이나 벽면에 그을음이 남아있을텐데 전혀 그을음이 없다.

학자들에 의해 [무연 촛불] [조립식 거울]과 같은 고육지책의 가설이 나왔지만 실증되지 못했다. 그렇지만 1964년, 스웨덴의 고대사연구가 이완 트로에니가 하트홀 신전의 지하실 벽화에서 강력한 조명기구를 발견해냈다.

기원전 1세기에 세워진 이 하트홀 신전의 좁은 계단을 내려가면, 일반 관광객들에게는 공개되지 않고 있는 지하1층 G실27, 29 벽면에 지금도 선명하게 남아있는 벽화가 있다.

신관(神官, 전기기사?)을 앞에 두고 2명의 조수가 무엇을 바치고 있는 그림이다.
고대 이집트에는 전구가 있을 수 없다는 선입견을 제거한다면 분명히 전구처럼 보이는 물건이다.
고대 이집트 사람들이 전구를 사용했다면 피라밋의 수수께끼는 쉽게 풀린다.

전기의 힘으로 빛을 내는 물체인 전구는 1879년 에디슨이 탄소 필라멘트를 이용해 만든 백열전구가
최초
이다. 그러나 이집트인들이 전구를 사용했다면 이미 1만년 전에 전기와 유리등의 제조기술을 이용할 수 있는 높은 과학 수준에 있었음을 간접적으로 말해주는 것이다.

그외에 이집트 고대 유물중에는 현대의 다이아몬드 칼날로도 깎기 힘든 현무암을 매끄럽고 정교하게 다듬어 만든 현무암 도자기들이 발견된 바 있다.

고대 이집트인들이 구사했던 높은 수준의 과학기술은 과연 어디에서 온 것일까?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