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월수입 400만 원인 가구에 대해서도 보육료의 30%를 지원키로 하는 등 출산율 높이기 정책을 쏟아내고 있지만 정작 자녀를 많이 낳은 가정에는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어느 정도 도움을 줄까.

경북 구미시 고아읍 황산리에 사는 주부 엄계숙(嚴癸淑·43) 씨는 현재 임신 3개월이다. 12번째 아이를 가졌다.

그는 입덧이 심하지만 임신 후 아직 병원을 찾지 못했다. 진료비에 부담을 느끼기 때문이다.

대학 1학년인 딸(18)부터 두 살배기 딸까지 모두 5남 6녀를 뒀지만 그동안 정부와 지자체로부터는 출산과 관련해 어떤 지원이나 혜택도 받지 못했다.

“저출산이 계속되면 나라가 망한다”며 아우성을 치지만 지원정책은 ‘그림의 떡’이다.

엄 씨 부부는 다출산이 죄인 취급을 받는 듯한 분위기가 가장 견디기 힘들다고 말했다. 엄 씨의 남편은 목사. 신자가 20여 명인 교회 수익금(월 60만 원 정도)으로 지내야 한다.

이들은 올해 2월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자로 지정받아 매월 100만 원가량을 지원받고 있다. 지난해까지는 10년 된 승합차량이 한 대 있다는 이유로 기초생활수급자로 지정받지 못했다.

기초생활수급자라서 초중고교에 다니는 6명의 등록금과 학교 급식비를 면제받고 농협에서 매달 쌀을 약간 받는다. 2003년 딸을 낳을 때 구미 순천향병원에서 출산비용 20만 원을 면제받았다.

내년 5월 출산 예정인 엄 씨는 25일 “출산 장려 정책을 매스컴을 통해 접할 때마다 좀 아쉬운 마음이 들기도 한다”며 “기초생활수급자로서 도움을 받기보다 기쁜 마음으로 아이를 낳고 키우는 사회 분위기가 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구미=이권효 기자 boriam@donga.comⓒ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