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에서 사용된 무기에 대해 간략히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이해를 돕기 위해서
동서 양진영의 무기를 위주로 대결구도로 어떠한 것이
쓰였는지 알기 쉽게 설명드리겠습니다.
먼저 가장 기본적인 소화기류.
대한민국이
독립을 한후 일시 국방경비대초창기에는 구일본군의 무기와 복장을
사용한 적이 있었지만 곧 미군정이 시작되면서 미군의 무기체계로 완전히
개편됩니다.
한국전 발발시에는 이미 미군장비및 체제로 완전히 갱신되었기 때문에 구일본의 무기류는
1선급에서는 사용되지 않았습니다.
(2선급 학도병등에서는 사용되었을 가능성은 있음.)
미군은 2차 대전에서 M1개런드로 독일을 압도하면서(M1개런드는 반자동
소총이라서
방아쇠만 당기면 사격이 가능하지만 독일군의 Kar98K소총은 볼트액션방식이라 한발
한발 수동으로 노리쇠 후퇴장전을 해야
한데 반해 엄청난 전투력을 발휘했지요.) 2차
대전 이후 미군은 불과 5년여의 시간밖에는 없었고 예산삭감등의 이유에다
워낙에
M1계열의 생산량이 많아서 개인화기면에서 큰 변화없이 이 개런드가 제식소총으로
쓰이고 있었습니다.


위 사진은 M1 개런드 라이플과 8발 클립입니다. 클립은 위에서 아래로 끼워넣으며
약실에 1발장전이
가능해서 장탄수는 8+1이라는 2차대전 당시로서는 대용량 장탄수를
자랑했습니다. 8발을 다 쏘는마지막 순간 클립이 함께 튀어오릅니다.
구경 7.62mm로 총계
600만정 이상이나 생산되었습니다. 신생한국군에도 대량으로 배급되었지만 동양인이
감당하기에는 버거운
반동과 길이로 인해 다루기 힘들다는 평을 많이 들었습니다.
이에반해 북한군의 주요 제식소총은
M1891/M1930 모신나강 소총이였습니다.
구경은 7.62mm소총이 주력으로 장탄수는 5+1발


좌측은 모신나강 소총/우측은 노획한 모신나강 소총을 살펴보는
미군
-----------------------------------------------------------------------------------------------
소총이외에
미군은 M1카빈소총을 대량으로 장비했는데. 일반적인 군용소총탄과는
달리 권총탄과 소총탄의 중간정도 위력을 가진 탄환을 사용하는 신개념의
소총으로
위력은 약했지만 다루기가 편하고 근거리 전투에서 M1보다 다루기 쉽다는 이유로
인해서 포병이나 후방지원부대 하사관
초급장교...그리고 한국군에도 다량 공여되었습니다.
생산량은 M1개런드와 마찬가지로 600만정 이상에 달하며 구경은 7.62mm 장탄수는
15/30발 탄창이 있으며 이 카빈 소총은 아직까지도 한국군의 예비군용 소화기로 일부
남아 있습니다. 참고로 M1카빈은 반자동
M2는 자동사격이 가능합니다.

위 사진은 M1카빈과 공수부대용으로 소량 생산된
M1A1카빈입니다.
이에반해 공산측에는 이와 같은 소총은 없었고...독일의 MP44(STG43)의
영향을
받은 AK47이 개발중이였지만 한국전에는 투입되지 못했습니다. 하지만 이와 유사한
역할을 한 기관단총이 있었는데 그것이
바로 북한군이 대량으로 사용해서 유명해진
ppsh-41 발랄라이카입니다. 소위 '따발총'이라고 불리웠고 한국전쟁이 시작되기 이전에
이미 북한에서 라이선스 생산을 할 정도였습니다.(한국이 M16A1소총을 라이선스해서 생산하게
된것은 20년이나 지나서죠...당시
북한이 공업이 더 발전했었다는 유감스런 증거입니다.)
71+1발이라는
장탄수로 인해 근거리에서 탄환의 비를 뿌려댄다고 할수
있으며....소련이 독일에게
이길수 있었던 3대 원동력이 되는 병기로 일컬어집니다. 이보다더욱 간략화된 PPS43(아래좌측)도
많이 사용되었습니다.

미군도 거의같은 기관단총이
있었습니다. m3 그리스건이라고 해서....마치
기름 주입기처럼 생겼다고 해서 이러한 별명이 생겼다고 하죠 그리고 좋은 평을 듣지는
못했지만 간단하다는 이유로 인해 한국전 이후에도 꽤 오랫동안이나 장수한 녀석입니다.

M3 GREASE 건(소위 구리스라고 부르는게
익숙하죠?)
-------------------------------------------------------------------------------------
일반적인
소총과 기관단총은 이정도로 정리하고 이제 지원화기류를 살펴보죠
연합국의 지원화기부터 살펴보면
먼저
분대지원화기로는 브라우닝 자동소총(BAR)이 있습니다.

위 사진이 BAR의 모습입니다.
주력 기관총으로는 M1919계열이
많이 쓰였습니다. 속칭 캘리버30(.30)이라고
불리우며 이렇게 불리우는 이유는 기관총의 탄환의 구경이 7.62mm로 .30인치(1인치는
2.54cm)이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삼각대를 거치한 M1919A4와 M1919A6모델이 공히
많이 쓰였습니다. 또한 이
M1919는 전차의 전방 기관총이나 장갑차량등의 차재용으로도
많이 사용되었습니다.
워터 재킷으로 총신을 두른 수냉식 모델도 있는데
일부
사용되었습니다.


왼쪽이 M1919A4 / 오른쪽이 M1919A6입니다.
이밖에 전차의 대공/대지용의
강력한 지원화기로 M2중기관총이 있습니다. 구경이
12.7mm로 일반적인 군용소총과 비교할수 없는 위력을 가지고 있습니다만 워낙에
무거워서
보병이 들고 이동하기는 어려웠고 주로 전차포탑위에 장착되거나 장갑차량등에 차재형식으로
탑재되었고 또는 이 M2를 4정씩
엮어서 대공/대지용 대공기관포로 사용하기도 하였습니다.

M2HB중기관총
미군과 한국군의 중~소화기류는 대충 정리가
된듯하군요....권총이나 저격총등은
다음
기회에...
------------------------------------------------------------------------------------------------
북한군과
중공군이 사용한 기관총들을 살펴보죠
북한군/중공군이 주로 사용한 기관총은 1차대전의 퇴물이라고 할수 있는 M1910맥심
수냉식 중기관총입니다. 구식이기는 해도 튼튼하고 신뢰성이 높아서 매우 많은양이
사용되었고 한국전 다큐멘터리 필름등을 보면 이놈을
자주 볼수 있습니다.

수냉식 맥심기관총의 모습입니다.
공냉식
기관총에는 DP(데크차레프-페코트니)28경기관총이 널리쓰였습니다. 북괴군이
대전시내에 T34/85를 몰고 진입하는 유명한 사진에
사이드카에 달려있는 녀석이 바로
이놈입니다. 47발짜리 드럼탄창을 수평으로 얹는 괴상한 방식으로 독특한 생김새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밖에도 고류노프 SG43등도 쓰였습니다.

![7.62mm Goryunov Heavy Machine Gun, SG43]()
src="http://www.korteng.com/KWjpg/mgrussB.jpg" width="421"
border=1>
또한 공산권에도 미군의 M2중기관총과 유사한 12.7mm급의 중기관총이
있었는데
DSHK38이 바로 그것으로...역시 차재나 독특한 2륜 바퀴가 달린 총가에 실려 널리
사용되었습니다.

-------------------------------------------------------------------------------------------------
이밖에
미군과 한국군이 사용한 독특한 대전차 화기중에 바주카포가 있습니다.
한국전 초반에는 한국군의 경우나 미군이나 M9바주카포를
사용했으나....T34/85쇼크이후
미군이 M20슈퍼 바주카포를 사용했지만 T34/85의 위력이 과장된 바가 많고 M9으로도
잘사용하면 격파가 충분히 가능했다고 합니다.


위가 M9바주카/아래쪽이 M20(3.5')수퍼
바주카
헥헥 소화기만 정리하는데도 힘드네요....
나머지
전차와 비행기는 대강 설명해드릴께요
미군과 한국군의 전차를 대충 설명해 드리죠....
미군은 한국전에
최초로 M24경전차로 참전했지만 북한군을 우습게 얕잡아 봤다가
북한군의 T34/85에 괴멸적인 타격을 입고 M26/M46전차들을
투입합니다. 하지만 이들
전차의 수량은 부족했기 때문에 구형이라 할수 있는 M4A3E8전차를 다수 사용하였고
한국군에도
이M4A4E8전차를 공여해줍니다.
미군과 한국군이 사용한 기갑장비를 살펴보면....

2차대전의 M26전차를 개량한 M46패튼전차

퍼싱의 보조전력으로 보병지원등에서 활약한 M4A3E8
'이지에이트'

셔먼의 차체에 90mm대전차포를 탑재한 대전차자주포 M36잭슨(역시 한국군에
공여됨)

개전초기 한국군이 소수 보유하고 있었던 M8그레이하운드 장갑차...이 빈약한
장갑차로 T34/85에 맞서려다가 장갑차 부대는 전멸했다고 하죠. 이후 파병초기의
미군도
사용했었습니다.

개전초기 미군 스미스대대등이 사용했던 M24채피 경전차....T34/85에게 완패하고
맙니다.


그레이 하운드 장갑차와 마찬가지로 한국군이 개전전에 보유했던 유일한 기갑전력
m3하프트랙(반장궤차)
---------------------------------------------------------------------------------------------
북한/중공쪽이
사용한 기갑장비를 살펴보면


한국전의 상징과도 같은 북괴군의 T34/85 240여대가 투입된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잘 알려지지는 않았지만 T34/85못지 않게 대량 사용된 su76 자주포....이놈들은
UN군
반격시 대량 노획되어 태극기가 그려진채 한국군에 공여되어 한국군에서 한동안
잘 사용했었습니다.


이밖에도 su100자주포나 zsu-152자주포등이 쓰였고..
중공군에 의해 js-2
스탈린 전차등이 사용되었다고 주장되어지고 있지만 확인된
사진이 별로
없습니다.
--------------------------------------------------------------------------------------------------
야포나
대전차포 곡사포 박격포 대공포등은 너무 광범위해서 일단 줄이겠습니다.
항공기를 끝으로
정리하겠습니다.
먼저 북한군

IL-10 지상공격기를 보유했었으며....


YAK-3/7/7B/9등의 전투기와.....LA-7전투기
이밖에
YAK-18수송기/PO-2연습기등의 세력으로 남침을 개시합니다. 하지만 유엔군
참전이후 이러한 프로펠러기로 북한군은 곧 제공권을
상실하고...중국과 소련이 MIG-15기를
동원하면서 어느정도 제공권을 회복하지만 전쟁이 끝날때까지 제공권은 미군을 위시한
UN군의 차지였습니다. 23mm 37mm기관포를 갖추고 운동성이 뛰어났지만 공산권 조종사들의
기량이 떨어지는 문제로 미군의
F86을 맞아 고전을 면치 못합니다.

연합군(주로 미군)이
사용한 항공기들을 살펴보죠

F-80슈팅스타

F-84썬더제트
그리고 대망의 MIG-15와의 전투로 유명해진
F-86 세이버

세이버는 한국전쟁 종료후에도 상당기간 한국공군의 주력기체였습니다.
기타 기체들을
살펴보면 ....대지공격기로 활약했으며 한국공군에 전쟁중에 양도된
한국공군 최초의 전투기인
P-51(F-51로 개칭)
무스탕

한국공군은 이 구식 기체로 큰 전과를
올립니다.
미해군 기체로


F2H밴시와/F9F팬서가 함재기로 사용되었고
기타
프롭기들은.....
2차 대전에서 일본을 초토화시켰던 B-29....한국전쟁때 B-29가 투하한 폭탄은
2차대전때보다도 더 많았습니다. 하지만 MIG-15의 출현으로 큰 피해를 입고 급격히
구식화되어
사라져갑니다.


대지
공격에 활약한 b26인베이더 공격기

함상전투기이지만 대지공격에 맹활약한 F-4U코르세어

대지공격기 AD-4
스카이레이더
......
이외에 한국공군의 텍산...L계열
연락/정찰기...및...소수 참가형...잡다한 참전국들의
별종 기체들이 있지만 너무 길어지네요